본문 바로가기

진보정치

‘6.26임시대의원대회’가 독자ㆍ통합론에게 전한 교훈은?

 

특별 결의문은 독자파 일부가 나선 어설픈 봉합


6월 26일 진보신당 임시 당 대회는 전국위원회가 상정한 안건 중 아무 것도 처리하지 않은 채 끝났다. 특별결의문이 시도당 위원장이 서명하고, 독자론의 일부가 묵인을 넘어 지지를 한 덕분에 가까스로 처리되었다. ‘오늘은 깔끔하게 처리하자’고 생각한 지역의 대의원들이 ‘특별 결의문 상정’이란 말에 당황했음은 물론이다. “왜 처리를 미루느냐”고 묻자 “표 점검을 해 보니 우리가 불리하다. 그리고 비대위 구성에 대안이 없지 않느냐”는 말에  말에 서로 감정을 상할 것 같이 그만두었다.



대안은 만들어 가는 것이지 이미 비대위 구성까지 해 놓고 해야 하는지 난 의아하다. 특별 결의문은 의장단 직권 상정이라는 사상최고의 무리수까지 두면서 억지로 처리를 해 ‘의장단 불신임’이라는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사태까지 벌어졌다. 직권 상정을 받아 주는 걸 보면 의장단이 치밀하게 점검하고 서로 교감이 있었다. 합의문 처리를 미룬 것은 식물 상태를 두 달간 연장하는 것이다. 두 달 후 마취 상태에서 깨어난다는 보장도 없는 상태에서.


목요일까지만 해도 ‘수정안 저지’라는 분명한 선을 그어 놓고도 갑자기 태도를 바꾼 것에 지역의 대의원들이 당황했다는 것을 수도권의 선수들은 알아야 한다. 연석회의 합의문은 당 대표가 서명한 문건임이 인정했을 뿐, 당 기관 어느 곳의 심의도 거치지 않은 이상한 물건으로 남았다. 더구나 진보를 자처하는 진보신당에서 이런 일이 있을 수 있는지 모르겠다. 전국위원회도 이 합의문 승인 안건을 당 대회에 상정만 했을 뿐 내용 심의는 하지 않았다. 누가 봐도 비정상적인 절차다.


통합파의 계속되는 전화가 과연 대화인가?


당을 계속 유지할 것인지 말 것인지 결정하는 사안을 당의 공식 의결 기관 어느 곳에서도 한 달 넘게 심의하지 않았다. 그 결정의 순간을 다시 두 달 뒤로 미뤘다. 적어도 지금 이 국면에서 진보신당은 하나의 ‘정당’으로서 이미 작동을 멈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마취 상태에서 수술을 하지 않고 미룬 것이다. 이게 과연 바람직한지 납득할 수 없다. 지금도 당의 일상적인 정치활동이 이루어 지지 않고 있는데 2달을 미루는 게 무슨 의미가 있는가?



전국위원회는 이른바 선수들이 모여 표 점검이 거의 정확하지만 대의원대회는 다양한 사람들이 참석하기에 정확한 계산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정기 대의원대회에서 확인했다. 2개월 동안 어떤 일이 벌어질지 쉽게 짐작 가능하다. 고민하고 있는 대의원들에게 ‘대화를 하고 싶다’며 곳곳에서 전화가 계속 온다. 이대로 간다면 두 달 후에 어떤 일이 벌어질지 생각만 해도 끔찍하다. 이제 갈 사람 붙들 생각은 없다. 다만 조직의 결정에 따르자는 말은 꼭 전한다.


진보신당의 당원은 약 1만 6천명, 대구의 당권자는 300명이 못 된다. 한국사회에서 이런 인연을 만난다는 게 그리 쉽지 않다는 건 고등학생인 작은 집 조카 녀석도 안다. 자신의 주장이 관철되었다고 통합론은 결과를 자신에게 유리하게 해석한다면 큰 오산이다. 겨우 40여 표가 넘었을 뿐이란 건 독자쪽에서 애초 결정한 대로 조직만 했다면 충분히 이길 수 있는 결과란 걸 명심해야 한다. 애매하게 봉합한 것을 대수술을 마친 것으로 오해하지 말기를 간곡히 부탁한다.